이 글을 끝까지 읽으면 ‘숨은 돈’ 건강보험료 환급금을 조회하고 신청하는 방법을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.
3년 안에 찾지 않으면 영영 못 받는 돈이라는 점, 꼭 기억해 두세요.
조용히 묻히는 수백억 원 속에 여러분의 몫이 있을지도 모릅니다.
“돈이 생겼대요?”
친구가 카페에서 말했어요.
나 건강보험료 환급금 8만 원 받았어. 홈페이지에서 클릭 몇 번 했는데 바로 들어오더라?
그 얘기를 들은 순간, 나도 혹시? 하는 마음이 들었습니다.
바로 확인해 봤죠. 결과는? 저도 3만 2천 원이 있더라고요.
아무 생각 없이 지나쳤다면, 이 돈은 몇 달 뒤 그냥 소멸됐을 겁니다.
왜 돌려주는 거예요?
건강보험 환급금은 말 그대로 ‘잘못 낸 돈’입니다.
예를 들어, 이런 경우에 발생해요:
- 자동이체가 중복되면서 이중 납부한 경우
- 직장에서 퇴사했는데 지역가입자로 등록되며 이중 계산된 경우
- 시스템 오류로 과다 청구된 경우
사실상 내 실수든 시스템 실수든, 결과적으로는 내가 더 낸 돈이라는 거죠.
얼마나 쌓여 있을까요?
2024년 기준, 327억 원.
이 돈은 국민의 돈이지만, 주인을 찾지 못해 묻히고 있습니다.
지난해보다 2.5배 이상 증가한 수치입니다.
이 중 상당수는 소멸시효 3년이 지나 돌려받을 수 없게 됩니다.
실제로 3년간 사라진 돈만 66억 원이 넘는다고 해요.
국민이 모르면 소용없어요
국민건강보험공단도 여러 조치를 취하긴 했습니다.
- 환급 계좌 사전 등록제
- 문자 알림, 모바일 고지서
하지만 현실은...
- 지역가입자 환급계좌 등록률: 2.7%
- 모바일 열람률: 10% 미만
알려줘도 못 보고, 봐도 무시하는 상황입니다.
어떻게 확인하나요?
정말 간단합니다.
1.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접속
2.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 인증 로그인
3. ‘환급금 조회’ 클릭
4. 내역 확인 후 ‘신청하기’ 버튼 누르기
# 저는 환급받을 수 있는 대상이 없어 신청은 할 수 없었습니다. #
5. 계좌번호 입력 → 완료
앱도 있어요. ‘더건강보험’ 앱 설치하면 똑같이 할 수 있어요.
또는 1577-1000 전화, 근처 지사 방문도 가능합니다.
잊고 살던 내 돈을 찾는 기분
8만 원, 3만 원, 심지어 20만 원 넘는 분도 계시더라고요.
“몇천 원이겠지~” 하며 넘기기엔 생각보다 크고 소중한 돈일 수 있어요.
특히 퇴사 이력 있거나 지역/직장 전환이 있었던 분들은 꼭 확인해 보세요.
327억 원 중 당신의 몫이 있을지도 모릅니다.
그 돈은 클릭 몇 번이면 돌아옵니다.
그리고 3년 후엔 영영 사라집니다.
오늘이 그 3년의 마지막 날일 수도 있습니다.